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크론병 약물 처방 단계

SMALL

크론병은 중증도, 환자의 반응, 합병증 등에 따라 다양한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의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1. 5-ASA제
5-ASA제는 대장 내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노동성 대장염 및 직장염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5-ASA제는 작용부위와 효과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약물로 제공됩니다.

2. 스테로이드제
스테로이드제는 대장 내막의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중증의 크론병과 광범위한 장세포 침범이 있는 광범위한 괘양성 대장염에서 사용됩니다.

3. 면역 억제제
면역 억제제는 면역 시스템의 반응을 억제하여 염증을 줄이는 작용을 가집니다. 크론병 환자에서는 TNF-α, 인터루킨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자의 억제를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약물로 인플릭시맙,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등이 있습니다.

4. 생물학적제제
생물학적제제는 면역 시스템에 직접 작용하여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약물로 인플릭시맙, 어닐락시맙, 어닐락시맙연계인펙시맙, 우보리스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생물학적 항체나 항체 유사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 수술
약물 치료와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매우 심각한 합병증이 있는 경우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은 소장 및 대장 일부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소장 및 대장 절제술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는 크론병 및 괘양성 대장염의 합병증 중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한국에서 크론병 약물 처방 단계는 다른 나라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보통 항염증제부터 시작하여 면역억제제, 생물학적제 등으로 치료하며, 항생제도 추가적으로 처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개인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서 처방되는 약물과 그 효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크론병 약물 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도 다수 이루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에 발표된 한 연구에서는 인플릭시맙과 아닐리슘을 이용한 치료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해당 연구에서는 인플릭시맙과 아닐리슘 모두 치료 효과가 높았지만, 인플릭시맙의 치료 효과가 더 높았으며, 또한 안전성 면에서도 우수함이 입증되었습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있으며, 점차적으로 크론병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